Tech이야기~!
welcom 자세히보기

Data Science

데이터 과학 – 기초 통계 자기회귀이동평균(ARMA) 모형

Enhold 2018. 7. 12. 18:00

데이터 과학 – 기초 통계

자기회귀이동평균(ARMA) 모형

https://statkclee.github.io/statistics/stat-time-series-arma.html

https://software-carpentry.org/blog/2018/04/mentoring-groups-still-open.html

학습 목표

  • 자기회귀이동평균(ARMA) 모형을 이해한다.
  • 자기회귀이동평균 모형을 식별하는 도구 자기상관함수(ACF), 편자기상관함수(PACF)를 살펴본다.
  • 시계열 모형 식별을 위한 박스-젠킨스 방법론을 적용한다.

1. 박스-젠킨스 방법론 1

박스-젠킨스 방법론은 지난 과거 시계열 데이터를 가장 잘 접합시키는 방법론을 제안했다. 박스-젠킨스 시계열 모형 적합 방법론은 총 3단계로 구성된다.

  • 모형 식별(Model Identification): 시계열 데이터의 정상성을 확인하고 계절변동이 있는지도 확인한다. 특히 편자기상관함수(PACF, Partial Autocorrelation Function), 자기상관함수(ACF, AutoCorrelation Function)를 사용해서 자기회귀이동평균 모형 p,q 차수를 결정한다.
  • 모수 추정(Parameter Estimation): 시계열 모형에 대한 추정은 회귀분석의 최소제곱방법과 유사하지만 가우스-뉴튼 아이디어에 기초해서 컴퓨터를 활요한 수치해석방법을 적용한다.
  • 모형검정(Model Diagnostics): 자기회귀이동평균 모형을 적용시키고 남은 잔차의 정상성을 확인하는데 중점을 두는데, 특히 잔차가 서로 독립이고 시간에 따라 평균과 분산이 일정한지 검증한다. 시계열 데이터의 자기상관을 검정하는 융-박스(Ljung-Box) 통계량, 평균과 분산이 일정한지, 자기상관함수와 편자기상관함수를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모형에 누락된 것이 없는지 검정한다.

추가적으로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최적 모형을 정보이론 (AIC, BIC)에 따라 적절한 차수를 선정한 자기회귀이동평균이 채택되면 예측(forecast)함수를 통해 예측을 한다.

1.1. 정상성(Stationarity)

존즌앤존슨 분기 수익률 데이터가 전형적인 추세를 갖고 분산도 커져 변동성이 증가하는 시계열 데이터의 전형이다. 이를 위해 등분산성을 맞추도록 로그 변환을 하고 나서, 추세를 제거하기 위해 차분을 한다. 로그변환과 차분을 통해 정상성을 확보한 후에 자기회귀 모형을 적합시킨다.

# 존슨앤존슨 분기 수익률 ----------------------------------------------------
# install_github('sinhrks/ggfortify') 
# library(astsa) # 존슨앤존슨 분기 수익율 데이터
# library(ggfortify) # ts 데이터를 ggplot에서 시각화

jj_ts <- autoplot(jj)
jj_log_ts <- autoplot(log(jj))
jj_log_diff_ts <- autoplot(diff(log(jj)))

grid.arrange(jj_ts, jj_log_ts, jj_log_diff_ts, nrow=3)

plot of chunk time-series-arma-stationary

2. 자기회귀이동평균(ARMA) 모형

자기회귀이동평균 모형을 짚고 넘어가기 전에 선형회귀모형을 먼저 살펴보자.

Yi=βXi+ϵi

선형회귀모형은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위와 같고 오차항 ϵi i.i.d 가정을 한다. 즉, 동일한 분산을 갖는 서로 독립적인 정규분포다.

  • 자기회귀(AR) 모형 : Yt=ϕYt1+ϵt , 여기서 ϵt 는 백색잡음
  • 이동평균(MA) 모형 : ϵt=Wt+θWt1 , 여기서 Wt 는 백색잡음
  • 자기회귀이동평균(ARMA) 모형 : Xt=ϕXt1+Wt+θWt1

즉, 정상성 조건이 충족된다는 가정하에 현재 관측점은 과거 p 차까지 자기회귀를 하고 남은 잔차의 상관관계를 필터링하여 백색잡음을 만드는 모형이다.

자기회귀모형(AR)은 세가지 모수를 갖는다.

  • 평균: μ
  • 자기회귀계수: ϕ
  • 백색잡음 분산: σϵ2

이동평균모형(MA)도 세가지 모수를 갖는다.

  • 평균: μ
  • 이동평균회귀계수: θ
  • 백색잡음 분산: σϵ2

2.1. 자기회귀이동평균(ARMA) 모형 식별

로그변환(log transformation)과 차분(difference)을 통해 정상성과 더불어 계절변동성을 제거한 후에 편자기상관함수(PACF, Partial Autocorrelation Function), 자기상관함수(ACF, AutoCorrelation Function)를 도식화하고 이를 통해 자기회귀이동평균 차수를 선정한다.

자기회귀: AR(p ) 이동평균: MA(p ) 자기회귀이동평균: ARMA(p,q )
자기상관함수(ACF) 지수적 감소, 축퇴하는 사인 형태(tail off) q+1 차항부터 절단모양 q+1 차항부터 지수적 감소 혹은 축퇴하는 사인형태(tail off)
편자기상관함수(PACF) p+1 차항부터 절단모양 지수적 감소, 축퇴하는 사인 형태(tail off) p+1 차항부터 지수적 감소 혹은 축퇴하는 사인형태(tail off)

2.1.1. 자기회귀 AR(1) 모형

자기회귀 평균 μ=7 을 갖고 상관계수 ϕ=0.7 을 갖는 모형은 다음과 같다.

Yt=7+0.7(Yt17)+Wt

상기 자기회귀모형을 적합시키면 sarima 함수를 통해 적합시킨 결과가 거의 유사함을 확인된다. 또한, acf2 함수를 통해 자기상관함수는 지수적 감소하고, 편자기상관함수는 2차항부터 절단모양이 관찰된다.

# library(astsa)

# AR(1) 모의시험 모형------------------------------------------------ 
ar_yt <- arima.sim(list(order = c(1, 0, 0), ar = 0.7), n = 250) + 7

# ACF, PACF
acf2(ar_yt)

plot of chunk time-series-arma-ar1

        ACF  PACF
 [1,]  0.67  0.67
 [2,]  0.46  0.02
 [3,]  0.29 -0.04
 [4,]  0.17 -0.02
 [5,]  0.19  0.18
 [6,]  0.16 -0.04
 [7,]  0.19  0.10
 [8,]  0.17 -0.02
 [9,]  0.11 -0.04
[10,]  0.04 -0.07
[11,] -0.05 -0.07
[12,] -0.10 -0.06
[13,] -0.08  0.07
[14,] -0.03  0.03
[15,]  0.05  0.10
[16,]  0.12  0.08
[17,]  0.12  0.01
[18,]  0.14  0.06
[19,]  0.08 -0.05
[20,] -0.02 -0.14
[21,] -0.08 -0.07
[22,] -0.16 -0.14
[23,] -0.16 -0.06
[24,] -0.13  0.01
[25,] -0.13 -0.05
[26,] -0.10  0.04
ar_yt_fit <- sarima(ar_yt, p = 1, d = 0, q = 0)
initial  value 0.302891 
iter   2 value 0.006245
iter   3 value 0.006244
iter   4 value 0.006244
iter   5 value 0.006244
iter   6 value 0.006244
iter   7 value 0.006244
iter   8 value 0.006244
iter   9 value 0.006244
iter  10 value 0.006244
iter  11 value 0.006244
iter  12 value 0.006244
iter  13 value 0.006244
iter  13 value 0.006244
iter  13 value 0.006244
final  value 0.006244 
converged
initial  value 0.005435 
iter   2 value 0.005430
iter   3 value 0.005429
iter   4 value 0.005429
iter   5 value 0.005429
iter   5 value 0.005429
iter   5 value 0.005429
final  value 0.005429 
converged

plot of chunk time-series-arma-ar1

ar_yt_fit$ttable
      Estimate     SE t.value p.value
ar1     0.6666 0.0468 14.2557       0
xmean   7.0427 0.1890 37.2657       0

2.1.2. 이동평균 MA(1) 모형

θ=0.7 모수를 갖는 시계열을 sarima() 함수 이동평균 모형에 적합시키게 되면 모수의 유사함이 확인된다.

Yt=Wt+0.7Wt1

또한, acf2 함수를 통해 자기상관함수는 2차항부터 절단모향이 관찰되고, 편자기상관함수는 지수적 감소, 축퇴하는 사인형태를 보인다.

# MA(1) 모의시험 모형------------------------------------------------ 
ma_yt <- arima.sim(list(order = c(0, 0, 1), ma = 0.7), n = 250)

# ACF, PACF
acf2(ma_yt)

plot of chunk time-series-arma-ma1

        ACF  PACF
 [1,]  0.50  0.50
 [2,]  0.01 -0.32
 [3,] -0.05  0.16
 [4,] -0.05 -0.14
 [5,] -0.07  0.01
 [6,] -0.08 -0.08
 [7,]  0.04  0.17
 [8,]  0.07 -0.11
 [9,]  0.04  0.11
[10,]  0.04 -0.05
[11,] -0.05 -0.06
[12,] -0.02  0.10
[13,]  0.04 -0.01
[14,]  0.00 -0.05
[15,] -0.06 -0.03
[16,] -0.04  0.03
[17,]  0.07  0.07
[18,]  0.10  0.04
[19,]  0.06  0.00
[20,] -0.02 -0.09
[21,] -0.12 -0.08
[22,] -0.13 -0.02
[23,] -0.04  0.07
[24,] -0.02 -0.09
[25,] -0.05 -0.02
[26,] -0.05 -0.06
ma_yt_fit <- sarima(ma_yt, p = 0, d = 0, q = 1)
initial  value 0.247488 
iter   2 value 0.056970
iter   3 value 0.032072
iter   4 value 0.022341
iter   5 value 0.020949
iter   6 value 0.016001
iter   7 value 0.015477
iter   8 value 0.015141
iter   9 value 0.015131
iter  10 value 0.015130
iter  11 value 0.015129
iter  11 value 0.015129
final  value 0.015129 
converged
initial  value 0.015837 
iter   2 value 0.015836
iter   3 value 0.015832
iter   4 value 0.015831
iter   5 value 0.015830
iter   6 value 0.015830
iter   7 value 0.015830
iter   8 value 0.015830
iter   8 value 0.015830
iter   8 value 0.015830
final  value 0.015830 
converged

plot of chunk time-series-arma-ma1

ma_yt_fit$ttable
      Estimate     SE t.value p.value
ma1     0.7586 0.0424 17.8942    0.00
xmean  -0.0910 0.1126 -0.8077    0.42

2.1.3. 자기회귀이동평균 ARMA(1,1) 모형

θ=0.7 , ϕ=0.7 모수를 갖는 시계열을 sarima() 함수에 ARMA 모형을 적합시키게 되면 모수의 유사함이 확인된다.

Yt=0.7Yt1+Wt+0.7Wt1

또한, acf2 함수를 통해 자기상관함수와 편자기상관함수는 모두 지수적 감소, 축퇴하는 사인형태를 보인다.

# ARMA(1,1) 모의시험 모형------------------------------------------------ 
arma_yt <- arima.sim(list(order = c(1, 0, 1), ar=0.7, ma = 0.7), n = 250)

# ACF, PACF
acf2(arma_yt)

plot of chunk time-series-arma-arma11

        ACF  PACF
 [1,]  0.85  0.85
 [2,]  0.59 -0.52
 [3,]  0.36  0.21
 [4,]  0.19 -0.17
 [5,]  0.08  0.10
 [6,]  0.02 -0.07
 [7,] -0.01  0.06
 [8,] -0.01  0.02
 [9,]  0.01 -0.01
[10,]  0.02  0.02
[11,]  0.02 -0.04
[12,]  0.01 -0.02
[13,] -0.01  0.01
[14,] -0.03 -0.02
[15,] -0.04  0.01
[16,] -0.03  0.06
[17,] -0.02 -0.04
[18,]  0.00  0.02
[19,]  0.01 -0.03
[20,]  0.00 -0.01
[21,] -0.02 -0.05
[22,] -0.04  0.00
[23,] -0.06  0.03
[24,] -0.06 -0.04
[25,] -0.06  0.04
[26,] -0.03  0.05
arma_yt_fit <- sarima(arma_yt, p = 1, d = 0, q = 1)
initial  value 0.852271 
iter   2 value 0.093052
iter   3 value 0.016485
iter   4 value 0.007946
iter   5 value 0.002178
iter   6 value 0.001530
iter   7 value 0.001065
iter   8 value 0.001058
iter   9 value 0.001058
iter  10 value 0.001058
iter  11 value 0.001058
iter  12 value 0.001058
iter  13 value 0.001058
iter  14 value 0.001058
iter  15 value 0.001058
iter  15 value 0.001058
final  value 0.001058 
converged
initial  value 0.002472 
iter   2 value 0.002460
iter   3 value 0.002442
iter   4 value 0.002439
iter   5 value 0.002438
iter   6 value 0.002436
iter   7 value 0.002435
iter   8 value 0.002434
iter   9 value 0.002434
iter  10 value 0.002434
iter  11 value 0.002434
iter  12 value 0.002434
iter  13 value 0.002434
iter  14 value 0.002434
iter  15 value 0.002434
iter  15 value 0.002434
final  value 0.002434 
converged

plot of chunk time-series-arma-arma11

arma_yt_fit$ttable
      Estimate     SE t.value p.value
ar1     0.7359 0.0443 16.6039  0.0000
ma1     0.6920 0.0438 15.7904  0.0000
xmean   0.5730 0.3993  1.4351  0.1525

2.2. 정보이론 기반 자기회귀이동평균(ARMA) 모형 선정

AIC와 BIC를 활용하여 최적차수를 갖는 자기회귀이동평균 모형을 선택한다. AIC와 BIC는 모수가 추가됨에 따라 벌점을 부과하는데 AIC는 k=2 , BIC는 k=log(n) 이 선택된다. 물론, AIC와 BIC는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하고 이에 해당되는 모형이 ARMA(p,q ) 최적 모형이 된다.

  • AIC=2(p+q)2ln(L^)
  • BIC=ln(n)(p+q)2ln(L^)

i.i.d 가정을 만족하는 정규과정인 경우 오차제곱(σe2^ )으로 BIC를 재표현할 수 있다.

BIC=nln(σe2^)+(p+q)ln(n)

2.3. 잔차 분석

sarima() 함수를 통해 잔차분석을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 표준화잔차(Standardized residuals)
  • 잔차 자기상관함수(ACF)
  • 정규분포 적합 QQ-플롯
  • 융-박스(Ljung-Box) Q-통계량 p-값

3. 예측(forecast)

시계열 모형에 갖는 이유는 시간에 따른 미래 시점에 대한 예측에 관심을 두기 때문이다.